요즘은 누구나 한 번쯤 ‘MBTI’나 ‘심리테스트’를 해 본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. 하지만 진짜 나를 아는 데 도움이 되었던가요?
오늘은 그저 재미로 끝나는 테스트가 아닌, 조금 더 깊이 있는 성격 유형 분석법 – MBTI와 애니어그램을 비교해 보며, 당신에게 어떤 방식이 더 잘 맞을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
📌 MBTI – 내 성격의 ‘습관적 반응’을 알려준다
MBTI(Myers-Briggs Type Indicator)는 크게 4가지 기준으로 사람의 성향을 분류합니다:
- 에너지 방향: E(외향) / I(내향)
- 정보 수집: S(감각) / N(직관)
- 판단 방식: T(사고) / F(감정)
- 생활 태도: J(계획) / P(즉흥)
총 16가지 성격 유형으로 분류되며, ‘나는 ISTJ’ 혹은 ‘ENFP’처럼 네 글자로 성격을 간단히 표현할 수 있죠.
장점: 친숙하고 간단하며, 인간관계에 적용하기 쉬움
단점: 컨디션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 있고, 너무 고정적으로 해석될 위험 있음
📌 애니어그램 – 내 ‘내면의 동기’를 들여다본다
애니어그램(Enneagram)은 총 9가지 성격 유형으로 구성됩니다. 하지만 이 테스트의 핵심은 단순한 분류가 아니라, “나는 왜 이런 행동을 하는가?”에 대한 내면의 동기를 분석하는 데 있습니다.
- 1번: 완벽주의자 – 질서와 정의감
- 2번: 도우미 – 인정욕구와 사랑
- 3번: 성취자 – 성공과 이미지
- 4번: 예술가 – 정체성과 감성
- 5번: 탐구자 – 지식과 거리두기
- 6번: 충실가 – 불안과 충성
- 7번: 낙천가 – 회피와 다양성
- 8번: 도전가 – 통제와 권력
- 9번: 평화주의자 – 갈등 회피와 안정
장점: 깊이 있는 자기 성찰 가능, 심리 상담/조직 진단에도 활용됨
단점: 직관적이지 않아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걸림
🎯 MBTI vs 애니어그램 – 어떤 차이가 있을까?
항목 | MBTI | 애니어그램 |
---|---|---|
구성 | 4가지 지표 × 2 → 총 16유형 | 9가지 유형 (날개 포함 시 세분화 가능) |
초점 | 행동 습관, 외부 성향 | 내면의 동기, 감정 구조 |
활용 | 연애, 커뮤니케이션, 팀워크 | 심리 상담, 조직 분석, 성장 코칭 |
정확도 | 다소 유동적 (결과 변화 가능) | 기질이 변하지 않음 (일관성 높음) |
👀 어떤 테스트가 나에게 더 맞을까?
✔ 빠르게 알아보고 싶다 → MBTI 추천 ✔ 나의 감정과 행동의 뿌리를 알고 싶다 → 애니어그램 추천
MBTI는 가볍고 직관적이며, 애니어그램은 깊고 변화 지향적인 자기 탐구 방식입니다.
두 가지를 함께 활용하면, 표면적 성향 + 내면의 동기를 동시에 파악할 수 있어 훨씬 입체적인 자기 이해가 가능합니다.
🔍 결론 – 성격은 바뀌는 게 아니라, 이해하는 것이다
모든 성격 유형 도구는 당신을 틀에 가두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. 오히려, 나를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과정이죠.
MBTI나 애니어그램은 ‘내가 왜 이렇게 반응하는지’를 스스로 인식하게 만들어주는 훌륭한 거울입니다.
진짜 중요한 건 **당신이 어떤 타입이냐**가 아니라, 그 성향을 어떻게 긍정적으로 활용하느냐입니다.
※ 본 글은 심리학 및 성격유형 관련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된 정보 콘텐츠입니다. 전문 진단은 공신력 있는 기관을 통해 받는 것이 좋습니다.